(사)한국환경교육학회, '2025년 한국환경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성황리에 마쳐 > 환경/복지

본문 바로가기
    • 'C
    • 2025.10.19 (일)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환경/복지

(사)한국환경교육학회, '2025년 한국환경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성황리에 마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8-14 13:31

본문

20250707131315_88aea4971dac6c3fb1204a253fd84f80_w98n.jpg

<2025년 한국환경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모습>

 

(사)한국환경교육학회(회장 손연아)는 6월 28일(토) 국립공주대학교에서 '2025년 한국환경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환경 커뮤니케이션과 조응의 환경교육"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 국립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주관 및 환경부, 국립공주대학교가 후원하였으며 환경교육 연구자, 학생 그리고 관계기관 및 단체에서 150여 명이 참여하였다.


손연아 (사)한국환경교육학회 회장은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의 사회는 기후위기, 생태계 파괴, 자원 고갈 등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단순한 과학적 사실의 전달을 넘어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누구와 공감하며 변화할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면서 이번 학술대회가 “단순한 지식의 공유를 넘어, 서로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진심으로 응답하는 깊이 있는 소통의 장이 되고 나아가 이 자리에서 나눈 논의와 아이디어가 각자의 연구와 교육 현장 속에서 실천으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환경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토대가 되길 바란다”며 개회를 선언하였다. 


이어서 유종렬(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장의 환영사가 진행되었으며 학회와 환경교육을 위해 기여하신 이재영(국립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담은 공로패를 전달하였다.


이어 기조강연을 맡은 김남수(국토환경연구원) 부원장은 "환경 커뮤니케이션과 조응의 환경교육"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김남수 부원장은 ‘모든 생명체는 혼자서는 영속할 수 없으며, 개인이 아니라 사회적 공동체 안에서 이해하고 소통하며 존재한다’는 존 듀이(John Dewey)의 철학을 소개하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소통의 측면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기업이나 정책의 태도, 용어의 사용, 각종 매체의 접근방식과 상징성 등 여러 가지 이슈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청중들에게 기후 위기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고 함께 생존하기 위한 올바른 소통의 역할과 중요성을 고민해 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면서 환경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큰 공감을 얻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환경 커뮤니케이션과 조응의 환경교육”의 주제를 ▲비인간-인간의 관계 환경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인식의 환경 커뮤니케이션 ▲협력적 환경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관계 속 환경 커뮤니케이션 전략 ▲일반 환경교육의 5개 영역에서 다루었고, 구두발표, 포스터발표 세션을 통해 40개의 연구발표가 진행되었다. 


이 대회의 기획을 담당한 장미정(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소장) 학술이사는 기후변화는 인간사회가 오랜 시간 동안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며 살아온 결과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협력과 소통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향과 전략을 찾을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취지에서 이와 같은 주제를 제시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특별세션Ⅰ로 ‘제4차 국가환경교육계획(안) 탐색 및 논의’에서는 이선경(청주교육대학교) 교수의 ‘제4차 국가환경교육계획 수립 연구’에 대한 발제 후 김남수(국토환경연구원) 부원장이 좌장을 맡아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손연아(단국대학교) 교수, 이재영(국립공주대학교) 교수, 정대수(경남교육청 우포생태교육원) 원장, 장진아(서울남명초등학교) 교사, 황세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이 토론자로 참여해 국가환경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 과제 등 세부 검토 사항 및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특별세션Ⅱ로 진행된 ‘세계 환경의날 주제특집’은 장미정(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소장의 사회로  ‘플라스틱 오염 종식과 환경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홍수열(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의 발제가 진행됐다. 김경림(국립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학생, 명수정(한국환경연구원) 선임 연구위원, 서연(초록숲상점/평택기후행동) 대표, 임수정(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부소장이 패널로 참여하여 환경교육을 통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또한 워크숍으로 진행된 ‘사회환경교육 사례 공유회’는 이재영(국립공주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소속 단체 및 기관이 함께했다. ▲환경시민과 함께하는 다숨프로젝트(문경은, 수지환경교육센터) ▲해양생태관광에 대한 요인분석-운영자와 참여자 간의 동상이몽(조경준, 지속가능발전소자몽) ▲국립공원 ESD로서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접근과 실재(정은미, 계룡산국립공원사무소) ▲충청남도 탄소중립 생활실천단 사례(최유진, 충청남도탄소중립센터) ▲지역기반 환경교육강사 양성과정(윤정순, 전북환경교육센터) ▲광역-기초를 잇는 서울 환경교육 활성화 운영사례-광역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권종휘, 서울특별시환경교육센터) 등의 우수사례를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한 사회환경교육의 활성화와 환경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한국환경교육학회는 1989년 창립, 환경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를 주도하는 학술단체다. 학회는 초중등학교 및 대학, 비형식 교육기관 등에서 탄소중립 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등을 폭넓게 교육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환경교육』을 발간하고 있다. 



    뮤코협동조합 네이버 길 찾기



15

18

20

18

14

18

21

19

19

19

19

21
10-19 13:18 (일) 발표


 
법인명 : 뮤코협동조합 제보 및 문의 031-275-8007
등록번호: 경기,아54530 등록일 2025.9.2 | 발행인ㆍ편집인 : 박찬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고현정
문의·보도자료 : muko8007@gmail.com

Copyright ⓒ 2025 아트톡뉴스 All rights reserved.